<

법문 및 안거

H > 선해일륜 > 법문 및 안거

제목 泥牛吼
작성자 내원사 등록일 2014-04-11
첨부파일 파일 201404110833261.jpg 조회수 5562


진흙 소의 울음( 鏡虛集 가운데)

대저 참선하는 이는 첫째로 무상함이 덧없이 빠르고 나고 죽는 일이 큰 것임을두려워해야 한다. 그러므로 옛사람이 이르기를 “ 오늘은 비록 보존하나 내일은 보존하기 어렵다” 하였으니 정신 바짝 차리고 게으름이 없는 다음에 온갖 세상일에 조금도 간섭하는 뜻이 없어 고요하고 하염없이 지내야 한다.

만약 경계가 서로 흔들려서 마른 나무에 불붙듯이 번잡스레 정신없이 세월을 보낸다면 이것은 비단 화두 드는 공부에만 방해로운 것이 아니라 나쁜 업보만 더할 뿐이다.

가장 요긴한 것은 모든 일에 무심하고 마음에 일이 없게 하면 마음 지혜가 자연히 깨끗하고 맑아진다.

모든 일이 모두 마음을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니 착한 일을 하면 천당에 태어나고, 악한 일을 하면 지옥이 나타나고, 포악하면 범과 이리가 되고, 어리석으면 지렁이와 곤충이 되며 가볍고 분주하면 나비로 되나니 그러므로 옛사람이 이르되.“다만 한 생각의 차이 그대로 만가지 형상이 나타난다.”하였으니, 무릇 그 마음을 텅 비워서 성성하고 순일하게 하여 흔들리지도 않고 혼미하지도 않게 해서, 허공같이 훤출하게 하면 어느 곳에 선악이 있으며 어느 곳에 가지고 범할 게 있겠는가. 다만 이 활달하고 역력히 밝아서 마루에서 밑바닥까지 사무치면, 삶에 삶을 따르지 않고, 멸해도 멸을 따르지 않고, 부처도 조사도 짓지 않으며, 크게는 대천세계를 감싸고 작게는 가는 티끌에도 들어가며 능히 부처이며 능히 중생이다.또한 크고 작음도 아니요, 모나고 둥근 것도 아니요, 밝고 어두움도 아니어서 자유로이 융통함이 이렇게 철저하여 조금도 억지로 만들어내는 도리가 아니다.

무릇 이 현묘법문을 참구하는 이는 항상 반조하기를 힘쓰고, 참구하는 용심을 성성하게 깨어있고, 세밀하여 끊어지는 사이가 없이하며, 참구하는 것이 지극히 간절하여 참구한다는 마음조차 없는 경지에 이르면 홀연히 마음길이 끊어져 근본생명자리에 이르게 되면 저 본지풍광이 본래 스스로 갖추어져 원만한 경지에는 모자람도 남음도 없느니라.

귀에 부딪힐 때에 백천개의 해와 달이 시방세계를 비추는 것과 같으며, 눈에 부딪힐 때에 바다의 풍랑소리가 수미산을 치는 것도 억지로 이렇게 함이 아니니라. 이낱 도리는 너무 가까이 있지만 다만 사람이 스스로 체험해서 알려하지 않을 뿐이다.

무릇 현묘한 이치를 알려하는 이는 마음자리를 돌이켜 비추는 공부를 착실히 알아 분명하고 세밀히 해야지 아무렇게나 용심해서는 안 된다. 수행해 나가서 수행의 공력이 익어지면 실상의 이치가 스스로 나타난다.

태고화상이 이르기를 “겨우 활을 들어 쏘자 화살이 돌에 박힌다.”하였고, 청허화상이 이르기를 “모기가 쇠소 등어리를 뚫는 것 같아서 부리를 댈 데가 없는 곳에 온 몸이 들어간다.”하였으니 화두를 들고 참구하는 이들은 마땅히 이 말로써 지남(指南)을 삼아야 한다.

만약 우리 일상생활의 온갖 행동을 논할 것 같으면 가슴속이 텅 비어 아무것도 없으며, 육근(六根)이 텅 비어서 이렇게 너그럽고 넓은 이것이 보시(布施)이며, 이와 같이 맑고 깨끗한 것이 지계(持戒)이며, 이와 같이 비고 부드러운 것이 인욕(忍辱)이며, 이와 같이 본래 밝고 항상 나타나서 어둡지 않은 것이 정진(精進)이며, 이와 같이 밝고 고요해서 어지럽지 않은 것이 선정(禪定)이니, 이와 같이 밝고 고요하여 명료하게 법을 간택하여 공을 관함에 본래 어리석음이 없음이며, 모든 법의 모양을 분별함이 움직이지 않음이며, 내지 세상 인연을 따라주며 장애 없는 것이 지혜이기 때문에 달마대사가 이르기를 “마음 관하는 한 법이 모든 행위를 포섭한다.”하였으니 다만 뿌리를 잘 북돋아 주는데 힘쓸지언정 가지가 무성하지 않음을 근심할 필요가 없으며, 다만 견성(見性)하여 부처가 될지언정 부처가 신통과 삼매가 없음은 근심하지 말지니, 요즘 사람들은 흔히들 진정한 도인과 본색납자들이 해야 할 참선을 하지 않으니, 저 불법 가운데 법의 이치도 밝지 못하고 도의 안목도 시원치 않으니, 이는 도무지 갈림길에서 양을 잃은 것 같고, 취한 듯 꿈꾸는 듯 헛되이 일생을 보냄이니라. 슬프지 아니한가. 동산화상이 이른바 “가사(袈裟)아래 사람의 몸을 잃는 것이 괴로운 것이다.”함이 이것이다.

대개 길을 가는 이는 처음 길을 떠날 때 길을 바로 들지 못하면 천리를 갔어도 헛걸음이라 길을 떠나지 않은 것만 못한 것이다. 그래서 규봉선사가 이르기를 “결택을 분명히 한 뒤에 깨닫는 이치를 닦아 나아간다.”고 하였다.

대개 삼칸 초가집을 지으려 하더라도, 먹줄을 치고 자귀로 깍아 내고 자로 재는 공력이 없으면 성취하지 못하나니, 하물며 원각대가람( 覺大伽藍)을 조성하는데, 그 조성하는 이치대로 하지 않고 어찌 성공하겠는가. 작은 일을 하는데도 잘못되어 이루지 못할까 두려워하며 그 이치를 모르면 누구에게 물어라. 그 사람도 분명하지 못하면 다시 지혜있는 이에게 물어서 기어이 차질없이 성공하는 것이 조예가 아니겠는가.

깊고 오묘한 도에 나아가고자 하는 이들의 거의가 경솔하거나 함부로 소홀히 하지, 자세히 결택하여 공부하는 이는 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공부하여 실패하지 않는 이는 거의 드무니 슬프다. 어찌 경계하지 않을까 보냐.

대개 무상함을 경계해서 큰일을 깨달아 밝히고자 하는 이는 급히 스승을 찾지 않고 장차 어찌 그 바른 길을 찾겠는가.

다음글 일진화 一塵話
이전글 경허스님 참선곡
맨위로